국내여행의 풍경사진방

동창(친구)여행 (독도여행-2)

봄내음다올 2013. 5. 29. 21:16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1...◐

 

 

 

 

 

 

독도는

 신생대 3기인 460만년 전에 화산폭발로 생긴 34개의 바위섬으로, 사람이 살기 시작한 때는 독도와 인접한 울릉도에서 찾아낸 유물 중에 가장 오래된 것인 [갈색무늬 토기](승문토기)가 사용된 시기를 기준으로 대략 기원 후 약300년 무렵(서양: 로마시대, 우리 나라: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으로 추측되며, 울릉도는 신라와 많은 교류가 있었으므로 주민들도 신라 동해안에서 건너온 사람들로 짐작되고 있다.

이러한 독도는 신라 지증왕 13년(512년) 이사부에 의해 울릉도와 독도로 이루어진 우산국이 신라 영토에 귀속됨으로써 역사서에 그에 관한 기록이 등장하게 되었다.

 

 


 

 

 

 

 

 

 

 

 

 

 

 

 

<<< 독도의 연혁>>>


512년 (신라 지증왕 13년)
이사부 우산국 정벌 신라영토에 귀속시킴 (삼국사기)
1454년(단종2년)
세종실록중 권148권에서 권 155까지의 8권 8책에 지 리지로써 세종실록지리지라고도 하는데 권 153강원도 울진현조에 그 부속도서 로써 우산도와 무릉도를 열거하고 이들의 개략적인 위치를 우산, 무릉2도 재현 정동해중 2도 相距不遠 風月淸明卽望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역사기록은 독 도와 울릉도의 관계를 뚜렷이 밝힌 세계 최초의 문헌으로 평가되며 세종 14 년(1432년)애 편찬된 신선입도지리지를 그대로 옮긴 것이 라고 머리에 밝히고 있다.
1881년(고종 18년)
울릉도 개척령 반포(척민정책). 일본어민의 울릉도 근해 출어에 대한 일본정부에게 엄중항의.
1900년 10월 27일 (대한제국 광무4년)
관보 제 716호의 칙령 제41호 울릉도, 즉도 석도(독도)를 울릉군수가 관할토록 함.
1905년 2월 22일
독도의 일본령 편입결의 도금현 고시 제40호로 독도의 동현편입 발표1905년
독도망루설치 해군통신기지로 이용. 광무 10년 3월 5일 울릉도 군수 심흥택 보고서 「매천야록」에 독도 관련기록.
1910년
한국수산지 제1호 제1편에 한국령으로 표기
1946년 1월 29일
SCAPIN 제677호-연한군 최고사령관이 항복문서의 시해을 위해 일본정부에 보낸 각서 울릉도, 독도, 제주도를 일본의 통치권에서 제외.
1948년 6월 30일
미공군 폭격연습중 독도출어중인 어민 30명 희생. 한국정부의 항의에 따라 1953. 2,27자 미공군 연습기지에서 제외. 1951년 6월 독도 조난어민 위령비 건립.
1953년
일본이 미국기를 게양하고 조난어민 위령비 철거, 일본영유 표지 설치,한국 어민 독도근해조업에 대한 항의.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일본에 항의 각서 발송 그해 8월 5일 영토비 건립, 해양경비대 파견 협의.
1953년 4월 27일
울릉도 주민으로 구성된 독도의용수비대 창설 (대장 : 홍순칠)
1954년
항로표지(등대)설치. 동년 8월 1일 점화개시 각국에 통보.
1956년 4월 8일
국립경찰의 경비임무 인수결정.
1956년 12월 30일
경비임무 인계인수 1966년 4월 12일 수비대장 홍순칠 공로훈장 수여.
1980년
최종덕 독도 전입.
1986년 7월 8일
동인의 사위 조준기(61. 3. 20 생) 주민등록 전입(가족 3명). 6개월간 어로 작업 목적.
1991년
김성도(56세) 외 가족 (1명) 전입(서도)
현재 2
울릉경찰서 독도경비대 32명 근무 (동도)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