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다반사 29

먹을 수 있는 '참꽃', 먹지 못한 '개꽃'

먹을 수 있는 '참꽃', 먹지 못한 '개꽃' 개나리의 '개'의 의미 그런 봄꽃 가운데 '개나리'는 이름만 놓고 보면 참 못난 꽃입니다. 이름에 '개'가 붙어 있으니까요. 개나리뿐 아니라 어떤 말앞에 '개'가 붙으면 대개 나쁜 의미로 바뀌게 됩니다. 접두사 '개'에는 크게 세 가지 뜻이 있는데 우선 '헛된' 또는 '쓸데없는'의 뜻을 나타냅니다. '개꿈'과 '개죽음'이 그런 말들이죠 흔히 '개꿈'이 라고 하면 꿈에 개가 등장한 것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실제는 개의 등장과 상관없이 그냥 특별한 내용도 없이 어수선하게 꾸는 꿈'을 의미합니다. '개'는 '정도가 심한' 의 뜻을 더해 '개고생'이나 '개망신'처럼 쓰이고, '야생 상태의', 질이 떨어지는', '흡사하지만 다른' 등의 뜻을 나타내 개머루나 개살구 같은 ..

일상다반사 2023.03.12

커피의 역사

커피의 역사 커피는 1896년 아관파천 당시 러시아공사관에서 고종황제가 맨 처음 마셨다고 전해집니다. 19세기에는 양반, 외국인이 즐겨 마시던 비싼 음료로, '가배'로 불렀고, 특유의 쓴맛 때문에 일반인들은 '양탕국'이라고 불렀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에서 다방 문화가 들어와 일반인도 커피를 마시기 시작했고, 6.25 전쟁이 끝난 직후에는 미군을 통해 '인스턴트커피'가 유입되었습니다. 1999년 스타벅스가 국내에 들어온 이후부터 커피산업이 폭발적으로 커지면서 2021년 말 기준으로 커피전문 전은 8만 3.363곳으로 집게 되었습니다. 이미지 -구글 원두 종류와 맛 차이 원두의 맛을 내는 것은 6가지로 신맛, 단맛, 쓴맛, 바디감, 아로마 플레이버입니다. 바디감이란 커피를 머금었을 때 입안에 느끼지는 밀..

일상다반사 2023.03.12

양파 많이 먹으면 암도 겁 안 나요 !

양파 많이 먹으면 암도 겁 안 나요 ! 황색 색소 "쿼세틴'이 암 예방해줘 항암 효과 뛰어난 웰빙 채소 양파는 우리 국민이 즐겨 먹는 향신료 (양념)이자 웰빙 채소입니다. 양파는 즐겨 먹으면 체력이 강화되어 건강에 이로운 채소입니다. 서양에서 복싱. 사이클 등 체력 소모가 큰 스포츠 애호가들이 양파를 즐기는 이유입니다. 양파는 항암 효과도 탁월한 채소입니다. 동물 실험에선 양파 추출물이 다양한 암세포를 죽이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에서도 항암성이 입증됐습니다. 연구팀은 중국 상하이. 칭다오에서 위암 환자(1.000명)와 건강한 사람(1.000)의 식단을 비교했습니다. 양파 섭취량이 많을수록 위암 발명 위험이 낮았다는 것 이 연구결과의 결론입니다. 유럽 32개국에서 실시한 연구에..

일상다반사 2021.04.22

봄철 바다의 호객꾼, 주꾸미

봄철 바다의 호객꾼, 주꾸미 혈관 건강에 좋은 '오메가 3', 시력 개선에 좋은 '타우린' 풍성 맛이 고소한 주꾸미는 봄철 바다의 '호개꾼'입니다. 주꾸미의 맛과 영양은 알을 밴 상태인 봄에 절정을 이룹니다. 이 시기에 살이 가장 쫄깃쫄깃하고 고소하기 때문이지요. 4.5월에 잡히는 주꾸미는 투명하고 맑은 알이 가득 차 있습니다. 알은 흔히 머리라고 부르는 몸통에 들어 있습니다. 삶은 주꾸미 알은 마치 밥알을 뭉쳐 놓은 것처럼 생겨서 '주꾸미 밥'이란 별칭을 얻었습니다. 함황 아미노산 풍부해 회복기 환자 등에 좋아 주꾸미는 저열량. 저지방. 고단백 식품입니다. 주꾸미 100g당 열량은 52kcal. 지방 함량은 1g도 채 되지 않아서 다이어트 중인 사람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습니다. 게다가 주꾸미 지방의..

일상다반사 2021.04.16

봄기운을 달래주는 달래

봄기운을 달래주는 달래 남성호으로몬 분비를 촉봄기운을 달래주는 달래진시키는 황화알릴 성분 있어 봄기운을 달래주는 달래 수행스님이 금기해야 하는 음식? "달래, 냉이, 씀바귀 나물 캐오자,종다리도 높이 떠 노래 부른 다 ♩ ♬ ~." 동요 '봄맞이 가자'의 한대목입니다. 이노래와 함께 봄은 아지랑이 처럼 피어오릅니다. 봄나물 트리오 가운데 하나인 달래는 봄에 캔 것이 가장 부드럽습니다. 더위에 약해서 기온이 오르면 시들어 버리고 맙니다. 달래는 남성과 여성 모두가 관심을 가질만한 채소입니다. 불가에서는 달래를 수행 스님이 금기해야 하는 음식인 '오신채' 중 하나로 칩니다 오신채는 달래 마늘.파.부추.흥거(중국에서 나는 향신료)로 맵고 자극이 강한 채소5가지를 말하는데, 이 채소들을 익혀 먹으면 음심이 발동..

일상다반사 2021.04.10

무를 많이 먹으면 속병이 없다 ?

무를 많이 먹으면 속병이 없다 ? 겨울철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 칼슘. 칼륨 등 미네날 풍부해 무는 식이섬유(변비 예방.혈중 콜레스테를 낮춤), 비타민C(항산화 효과). 엽산(기형 예방)등 비타민, 칼슘(뼈 건강에 기여). 칼륨(혈압조정)등 미네랄이 풍부합니다. 이런 영양소는 뿌리보다 잎(무청)에 많이 있습니다. 우리 고유품종 조선무의 경우 무청 100g당 칼슘 함량이 249mg으로, 뿌리(26mg)보다 10배 가까이 많습니다. 칼륨. 비타민C의 함량도 잎이 뿌리를 압도합니다. 영양학자들이 잎을 주로 먹는 열무.알타리무를 높이 평가하는 이유입니다. 무 생김새에 의해서도 맛과 쓰임새가 달라집니다. 대체로 짧고 둥근 것은 매운맛이 강해 조림용으로, 길쭉한 것은 약간 싱겁고 수분이 많아 생식용으로 알맞습니다...

일상다반사 2021.03.10

치아와 떡국이 농간을 부린다?

치아와 떡국이 농간을 부린다? 떡국과 나이의 상관관계 새해에 몇 살이냐고 물을 때 재미 삼아 떡국 몇 그릇 먹었느냐 고 묻습니다. 우리는 설날에 반드시 떡국을 먹기에 먹은 떡국 그릇 슷자를 나이와 동일시했습니다. 에도 나오는 표현이니 적어도 200년 전에도 이런 말을 사용했을 것입니다. 속담에 떡국이 농간을 부린다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 옛 속담을 모아놓은 (조선 이언 집朝鮮理言集>에 해설이 실려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 자질은 부족해도 경험이 풍부해 능력 이상의 재능을 보여준다는 뜻입니다. 우리 나라 사람들이 해마다 설날이 되면 떡국을 먹는데 떡국은 첨치添齒를 위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한자 뜻 그대로 더 할 첨添자에 이치齒 자이니 치아가 하나 더 생겼다는 의미지만 첨치는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뜻입니..

일상다반사 2021.02.14

윤달이 뭐기에 . . .

윤달이 뭐기에... 계절의 흐름과 역법의 일치를 위한 노력 해와 달의 움직이는 시간 차이를 조정 인간은 '달력의 동물입니다. 비가시적인 시간을 가시적으로 분절하고, 이를 숫자 화하여 달력을 만듭니다. 시간을 읽는 기준으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대표적인 것이 해의 움직임입니다. 해가 황도를 따라 천구를 일주하는 길이를 1 태양년이라 하는데, 365.2422일이 걸립니다. 그리고 달의 변화를 기준으로 한 태음년이 있습니다. 달이 차고 기우는 삭망 주기를 한 달(삭망월)로 삼고, 12번 반복하면 1년(1 태음년)으로 삼는데 354,3671일이 걸리지요. 그런데 문제는 1 태양년과 1 태음년의 차이가 무려 10.8751일이나 납니다. 해와 달의 움직임을 같이 고려하지 않는다면 시간과 계절이 어긋나게 되어 있지요...

일상다반사 2021.02.01

콩이상 의 콩나물

[콩이상 의 콩나물] 식이섬유 풍부한 고단백 식품 콩나물은 숙주나물과 함께 '1세대' 싹채소로 통합니다. 중국에선 5.000년 전부터 길러 먹은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 브로콜리싹.무싹.메밀싹.보리싹.밀싹 등은 '2세대' 싹채소입니다. 콩을 물에 담가 어두운 곳에 두면 싹이 틉니다. 어느 정도 자라 먹을 수 있게 된 것이 바로 콩나물이지요. 콩나물은 밭이 아니라 공장에서 재배되는데, 시중에서 구입하는것은 대부분 대두나 쥐눈이 콩을 키운 것입니다. 콩을 쌀.밀과 함께 우리 국민의 밥상에 없어선 안될 작물로, 양질의 담백질이 풍부해 '밭에서 나는 쇠고기'. 두뇌 발달을 도와 '브레인 푸드' 등의 칭송을 받고 있습니다. 콩나물은 건강과 영양 측면에서 콩 이상의 가치가 있습니다. 싹이 나는 도중 대두..

일상다반사 2020.12.09

나무젓가락이 이렇게 무섭다?!

나무젓가락이 이렇게 무섭다?! 나무젓가락 안 좋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이 정도인 줄은 몰랐네요. 다들 산에 갈 때 집에서 젓가락 잘 챙겨서 갑시다.! ~ 독극물 덩어리 나무젓가락 나무젓가락은 컵라면, 짜장면, 짬뽕 등을 먹을 때의 필수품(? )일 뿐 아니라 아이들이 무심코 씹고 빨며 우리 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물건이다. 거의 전량 중국에서 수입되는 나무젓가락의 순백색 살결 속에는 무엇이 들어 있을까? 얼마 전 TV' 불만제로'에서 나무젓가락의 안전성을 실험해 보았다. 그 실태는 엄청났다. 그 심각성을 우리 한살림 조합원들에게 다시 한번 알려주고자 한다. 중국의 나무젓가락 생산 공장에서는 표백제와 곰팡이 방지제로 공업용 과산화수소수, 아황산 수소 나트륨, 수산화나트륨(양잿물)을 사용하고 광택제로 탈크(활석 ..

일상다반사 2020.11.24